타사 모듈 메뉴얼 만들기 타사의 Chip이나 모듈과 통신할 경우 메뉴얼을 만들어두면 편합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메뉴얼이나 데이터 시트의 경우 노말하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사용시 변경해 주어야하는 경우도 생깁니다. 자기를 위해서나 팀원을 위해서나 메뉴얼을 만들어 둔다면 프로그램 변경시나 다른 모델 개발시 편리해집니다.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Back Data 수집하기 2010.08.03
수리내역 확인하기 기존에 제품의 후속 모델을 만드는 경우 기 제품의 수리내역을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QC나 생산 기술등에서 생산시에 발생하는 불량을 잡아주는 경우도 있지만, 설계시 문제로 인해 잡히지 않는 부분도 있습니다. (Chip 불량이 많은 제품이라든지, 수삽공정시 문제가 발생할 만한 부분이라든지, PCB 패턴 같은 부분 등.)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Back Data 수집하기 2010.08.03
포트 설정하기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포트를 미리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물론 만들다보면 포트 조건이 맞지 않거나 원하는 동작을 해주지 않아 바꾸는 경우도 있지만, 미리 설정해 주지 않으면 단가가 올라가거나(풀업 저항을 따로 달아줘야한다거나) 원하는 동작을 지원해주지 않아 프로그램이 복잡해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I2C나 UART, ADCON등)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PIC 2010.08.03
Check List 만들기 Check List 없이 프로그램을 짜다보면 나중에 기능이 빠져있는 경우가 종종 발생합니다.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Back Data 수집하기 2010.08.03
설계 기본 잡기 만들려고 하는 제품의 기본 개념을 잡습니다. 기존에 있던 제품이라면 타사의 제품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 지 분석이 필요합니다. 사람의 습관이나 관념은 쉽사리 바꾸기 힘들기 때문입니다.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Back Data 수집하기 2010.08.03
데이터 수집하기 디젤 엔진의 경우 엔진 보호를 위해 고속주행후 시동 OFF전 대기 시간을 주어야 합니다. 그 때문에 엔진이 고속 주행을 하였는 지의 판단을 시거잭에서 나오는 주파수를 사용하여 판단하기로 하고, 측정을 실시하였습니다. 초보의 아웅다웅 설계하기/Back Data 수집하기 2010.08.03